10개월동안 커진 자궁 근육은 원래의 크기로 돌아가려고 하며, 자궁 속에 있던 태아를 위한 영양분과 태아의 노폐물 및 배설물을 깨끗이 배출하려고 합니다.
출산 후 어혈 치료
자궁의 수축과 노폐물 및 오로의 배출을 도와주고,
피부 및 말초혈관의 혈액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호르몬의 순환을 도와줍니다.
출산 후 임신의 유지와 태아의 성장에 맞춰져 있던 신체기능을 출산 이전의 상태로 원활히 복원될 수 있게 하는 밑바탕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아기에게 칼슘을 뺏겨 골밀도가 가장 많이 낮아진 상태이며,
출산 당시 골반사이로 태아가 빠져나오면서 골반과 관절들은 큰 무리를 겪은 상태입니다.
임신 중 자궁의 변화와 함께 급증한 여성호르몬은 출산 직후 뚝 떨어집니다. 이러한 호르몬의 변화와 출산 이후 변화된 환경과 체형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여성이 산후우울증을 겪게 됩니다.
산후우울증은 마음의 병이기 이전에 신체기능의 변화에 따른 것이므로 치료적 접근이 꼭 필요 합니다.
산후우울증을 예방하고 신체기능이 제자리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보혈과 보양의 단계는 출산 이후 산후조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보혈 및 보양 치료
아기에게 피와 영양분을 모두 나눠준 산모의 신체에 기혈을 보충하고, 극도로 허약해진 체력에 기운을 북돋워 주기 위한 영양을 공급합니다.
또한 출산으로 손상된 자궁, 질, 비뇨기 계통의 회복을 촉진하고, 자궁수축에서 오는 산후통을 경감시키기 위해 신체기능을 보양합니다.
신체 저항력이 떨어진 상태이므로,
세균감염과 신체 내 상처부위의 염증 발생 등으로 인한 고열과 오한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출산으로 늘어난 뼈마디와 근육 등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신체부위의 무리한 사용으로 인해 관절과 뼈마디의 시림, 저림, 통증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많은 양의 유즙이 뭉쳐 고열과 함께 가슴통증을 느끼며 몸살처럼 전신이 쑤실 수 있습니다.
엄마의 회복정도와 건강상태에 따라서 모유가 묽거나 충분한 양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산후풍 및 산후치료한약
산후풍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신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는 6~8주 기간 동안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처방은 산모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젖몸살의 경우 유즙배출을 촉진하고 염증을 가라앉혀 주는 치료를 하며, 모유가 부족할 경우는 기혈을 보충하고 순환을 촉진시켜 소화기가 튼튼해지도록 치료합니다.
모든 처방은 기본 처방에 개인에 맞는 처방이 더해져 개인 맞춤 솔루션으로 제공됩니다.
임상을 통해 계속 발전하는 장부 상태 진단, 투약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철저한 검사를 통해 보다 정밀한 진료를 추구합니다.
내장지방, 영양, 기초대사를 파악합니다. 한약복용 전 혈액 내 조성물들을 체크합니다.
인체 기혈 순환 상태화 신경전달이 원활한지 파악합니다.
골반 균형을 분석하여 자율 신경계의 이상 여부를 파악합니다.
임상 경험이 풍부한 여성 한의사가 진료하여 더욱 믿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료를 통해 나의 체질별 취약점을 파악하여 보강합니다.
![]() | 문진, 상담전반적인 신체의 컨디션을 살펴보고 문제를 찾습니다. | ||
1 | |||
![]() | 체질 진단맥진, 복진, 12장부 맥진기검사, 혈액검사 등 각종 검진을 통해 어떤 장부 균형이 무너졌는지 판단하고 치료 목표를 수립합니다. | ||
2 | |||
![]() | 외치 (침치료, 추나치료, 물리치료 등)외부의 자극을 통해 호전될 수 있는 부분들은 외치로 다스립니다. | ||
3 | |||
![]() | 한약처방간단하게 처방받을 수 있는 상비약, 건강보험 적용 한약, 체질 맞춤 보약 등으로 치료합니다. | ||
4 | |||